728x90
728x90

Come over to my place!라고만 해도 우리집에 들려, 우리집에 오라는 의미로 사용이 가능하다

 

내가 찾아본 come over to의 크게 나뉜 의미로는 

 

1) 친목의 의미로 to 이하의 장소에 들리도록 하는 것

2)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는 상대를 같은 편으로 만드는 것

 

* Come over 단어가 위와 같은 의미를 포함하고 있고 to가 붙여서 방향을 추가적으로 제시하게 된 것이다

Come over를 편한 상대에게 사용을 한다면 "이리 와"라는 편한 말로 해석도 가능하다

 

Example ::

 

 

 Come over here , there's a cute dog outside! 이리와봐, 밖에 귀여운 강아지가 있어!

 

 

 The people came over Korea from all of the world for the concert. 전세계 사람들이 한국에 콘서트를 위해 방문하였습니다

 

 

 I don't know what has come over her, she was very rude to him today. 그녀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 모르겠다, 그녀는 그에게 오늘 매우 무례했다

>> 내가 해석하기로는 come over이 to affect someone의 의미로 어떤 영향이 그녀에게 끼쳤는지 모르겠다고 사용된 것 같다

 

 

She comes over as being very nervous. 그녀는 매우 긴장해하고 있다

>> to apper to be a certain type of person으로 come over를 약간 은유적인 표현같이 사용한 것으로 그러한 모습이 나에게 다가와 느껴졌다로 이해하면 된다

 

 

 

theidioms.com에서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Come over to my blog 😘😘

728x90
728x90
728x90

언니와 매일 밤마다 공부를 같이 하기로 했는데 오늘 못했다

내일 읽을 언니를 위해 쓰는 글~~

 

간단하게 쓸 수 있는 짧은 영어를 정리하겠다!!

 

1) Don't show off.

>> "show off"는 다른 사람들에게 인상을 주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걸 보여준다는 뜻이다

이 단어에 Don't가 붙었으니 과시하지마. 잘난척하지마 로 해석이 가능하다

 

2) Don't show up.

>> "show up"은 뜻이 여러개인데 대부분 나타난다에 주목을 하는 것 같다

노래에도 Don't show up. don't come out.이 있는데 나타나지마로 쓰이고 있다

 

3) Later is better than nothing.

>> 아예 안하는 것 보다는 늦는 것이 낫다. Later : 나중에, nothing : 아무것도 아닌.

 

4) There is no such thing as a silly question.

>> There is no such thing  : 그런 것은 있지 않는다라는 의미로. as : ~같은 이라는 의미가 합해져 

뒤에는 내가 사용하고 싶은걸 쓰면 된다

ex) There is no such thing as ghosts.

물론, as 없이 There is no such thing. 이렇게 답변 하는 식으로 받아 치는 문장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5) I'm on my way home.

>> 항상 헷갈리는 I'm on my way. You're on your way. 잘 사용하지 못하겠기도 해서 정리해보기

on the way = where you are going으로 마치 I'm going home = I'm on my way home 이렇게 생각해주면 된다

home은 to를 같이 사용해줄 필요가 없지만 예를 들어 I'm going to work 일 경우는 I'm on my way to work. 라고 써주면 된다

I'm on your way라고 쓰기도 하는데 그런 경우는, Could you pick me up when you go to the Mart? I live by there so I'm on your way. 너 마트 갈때 나 좀 태워갈래? 나 그쪽에 살아서 너가 가는 길에 있어

728x90
728x90
728x90

Hi everyone!! 짧은 영어 시간 찾아왔숩니다 ^-^

 


Easy on 음식

이렇게 쓰이는 경우가 있다는데 
저는 완전 처음 알았숩니다 ^^... 진짜 아직 모르는거 투성이인게 느껴지네요

Easy on 음식은 평소에 주는 양에 비해 적은걸 표현할 때 사용한대요

Easy on the lettuce :: 그러면 이 뜻은 평소보다 적은 양의 양배추겠죠?

정리하자면, 햄버거 시킬때 양배추 조금만 넣어주세요 > Easy on the lettuce. 
라고 말하면 돼요

Go easy 를 추가적으로 알면 좋다는 네이티브의 답변을 봐서 알아 봅니다!



Go easy의 의미는?

1) 주의, 경고를 주기 위해

- Go easy lifting those boxes into the attic, you don't want to throw your back.
허리 다치고 싶지 않으면 박스 들때 조심해 

2) 적거나 적정 양을 사용하거나 섭취하라는 것 :: 이때 대부분 go easy on/with를 쓰는 듯 해요 ( on/ with 차이는 없습니다)
추가로, go light on 도 동일한 표현입니다 😙😙😙

- Doctor told me to go easy on fatty foods because I've got pre-hypertension. 의사가 나 기름진 음식 적당히 먹으래

- Go easy on  the Salt! 소금 적당히 먹어!

- Go easy on/with the cream.

2) 누군가를 따뜻하게 대해주는 것

- Please go easy on Tom. 톰을 좀 따뜻하게 대해줘

- Go easy on new student. 새 친구를 따뜻하게 대해주렴

 

 

 

이렇게도 쓸 수 있구나를 알 수 있었던 영어 표현 방식!!

사용법도 편하고 이해하기도 쉬운 단어들이라 이번엔 기억에 오래 남을 것 같숨돠!! 호호 그럼 Bye😎

 

728x90
728x90
728x90

친구가 보내준 새로운 영어 문장이라며 보내줬다

 

Are you short? 돈이 부족해?

 

오,, 새로운 단어군! 하고 배우려고 했다가

 

Are you broke? 너 빈털터리니?

 

가 생각났고 둘의 차이점이 해석에도 보이긴 하지만 더 자세히 네이티브들이 쓰는걸 확인하고 싶어 검색했다

 

 - broke : The state of having no, or very little money. ( urban dictionary 검색 )

   > 돈이 없거나 진짜 조금 있는 상태를 의미

 

I'm broke. 라고 한다면 완전.. 최악의 경우 나 파산했어로 해석이 되고 소소한 일상에서 말하는 경우 나 쓸 돈이 없다 라고 이해해주면 된다

 

그러면 short는 어떻게 돈과 같이 사용이 될까?

 

친구가 보내준대로 Are you short?로 검색을 한다면 대부분 height 키에 대한 내용이 주다

Hou much are you short? 너 얼마나 작니? 이런 내용인데

그러면 네이티브들은 당연히 Are you short?를 듣는다면 상황에 맞춰 해석은 하겠지만 우선적으로 키에 대해 묻는줄 알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더 찾아 봐야겠다고 생각하여 검색 고고~~

 

Are you short money 가 내 검색어였고 검색해서 발견한 내용은 

I'm short of money. 나 돈이 부족해, 돈이 필요한 상태다 를 찾았고 ( using English )

 

short 단어의 뜻 중 하나인 lacking (in) or needful (of) :: 부족한 또는 필요로 하는 의 해석으로 money를 쓸 수 있다는걸 발견했다

 

그러면 of를 무조건 써야할까? 하는 궁금증이 생겼다

 

short money를 쓴다면 It's short money. 값이 저렴하네 라고 말할 수 있다

It's short money. I've got than that in my pocket change. (urban dictionary 예시)

 

of 나 on을 전치사로 같이 많이 사용해주는 것 같은데 둘의 사용법이 완전 다르다

 

of 는 내 눈으로 보고, 내 손으로 만질 수 있는 감각과 직접적이게 닿을 수 있는 물건들과 같이 쓰이는데

 

I'm short of money.

I'm short of milk. 

I'm short of paper.

I'm short of bread.

 

on은 약간 형상이 없는 그런 것들과 함께 사용이 된다

 

He is short on common sense. (= He is fool. ) 

He is short on patience.

He is short on honesty.

 

새롭게 배운 내용들 천지다!!!

어? 나 이런거 재미있어 하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