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YOYO!

어제는 삼성전자 배당금이 있었던 날이다

배당기준일이 2021년 3월 31일로 알고 있는데 

그때까지 소유하고 있던 삼성전자 주식의 갯수에 맞춰서 준다

배당금액 = 소유 주 X 배당금

 

나는 삼성전자 우선주를 가지고 있어서 배당금을 받을 수 있었돠~~~~

아직 처음이라 이것저것 다 처음 해보는 경험이라 재미있눼욘

 

1) 나무(NH투자증권) 어플에 틀어가 계좌/이체/청약/대출 탭을 눌러준다

2) 청약/권리 탭 내에 권리현황이 있는데 이 메뉴를 눌러주면 된다

 

3) 개인정보가 있어서 살짝 가렸지만 전체적인 틀의 구조는 동일하다

권리 보유현황을 보면 지금 권리유형에 "배당"이라고 적혀있는게 보이고 종목이 무엇인지 기준일자가 무엇인지 한번에 확인이 가능하다

* 권리 예정현황을 보면 나의 이후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종목의 내용도 미리 확인이 가능하다

만약, 배당 수익을 원하는 분들이고 더 그 종목을 모을 예정이신부들은 권리 예정현황에서 기준일 확인을 해주시고 그 종목을 맞춰서 더 모으시면 될듯합니다~

4) 저 종목을 우측으로 넘기면 배정금액이 얼마인지, 언제 지급을 받았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이렇게 배당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끝-!~!!!!

 

배당 더 줘봐,, 너무 조금이라 이거 내가 좋아할까? 

728x90
728x90
728x90

어느정도는 보통주와 우선주에 대한 차이를 알고 있었지만 그래도 한번 정리해보겠다!

 

보통주는,

일반적으로 우선주보다 적게 10% 많게 40-50%정도 비싸다

우선주보다 비싼 이유는 보통주는 단 1주를 소유하고 있더라도

기업에 의견을 낼 수 있는 의결권을 가질 수 있다

소액주주가 대주주에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부분이다보니 더 비싸다

 

우선주는,

배당금을 잘 챙겨주고 이것저것 먼저 챙겨주지만

의결권을 가질 수 없

 

예전에는 우선주와 보통주의 가격의 차이가 굉장히 컸지만

점점 좁혀져가고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2018년 7월말 도입이 된 스튜어드십코드로 인한 것인데 이것을 국민연금부터 도입하면서 시작이 된다

스튜어드십코드를 간단히 말하자면 기관이 기업에게 주주에게 부당한 것을 시정하도록

압박을 넣는 것을 말한다

 

미국은 기관의 압박 덕분에 주식의 가격 차이가 별로 없다고 한다

 

우선주를 그러면 사는게 좋은거 아니냐라고 할 수 있는데

대체적으로 더 좋겠지만 배당금이 괜찮은지 한번 비교해봐야하며

의결권을 가지고 싶다면 보통주를 사는걸 추천한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