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올바른 표기어는 '웃어른' 입니다!

 

웃어른을 공경합시다

제 초등학생 시절 도덕책에 많이 나왔던 문구라 당연히 웃어른으로 사용하긴 하였지만

윗어른으로 쓰는 분들이 종종 계셔서 한번 알아 보게 되었습니다!!

 

표준어규정 제12항에 따르면, '웃-' 및 '윗-'은 명사 '위'에 맞추어 '윗-'으로 통일합니다만 아래, 위의 대립이 없는 단어는 '웃-'으로 발음되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데, '웃어른'은 '아랫어른'이 없으므로 '웃어른'을 표준어로 삼게 되었다고 합니다!

 

728x90
728x90
728x90

 

'무우'가 원래 본말이나

표준어규정 제14항에 따르면, 준말이 널리 쓰이고 본말이 잘 쓰이지 않는 경우에는 준말만을 표준어로 삼는다고 합니다

따라서, 준말인 '무'가 사람들에게 더 널리 쓰이다보니

'무'가 표준어라고 하네요!!

728x90
728x90
728x90


구두 상으로만 많이 사용하고 문자로 직접 적어 쓴 적이 별로 없어
제가 어떻게 쓰고 다녔는지 잘 생각은 안나지만
왠지 잘못된 표기로 사용하고 다녔던 것 같습니다.. 충격...!!!!

역시,, 우리말은 수능때가 최고점이고 지나고 나니
독서량도 줄어서 그런지 맞춤법이나 띄어쓰기가 많이 틀리고 있어요

올바른 표기법은 "쩨쩨하다" 입니다!
의미로는  '너무 적거나 하찮아서 시시하고 신통치 않다', '사람이 잘고 인색하다' 입니다

이제부터 잘 쓰면 되는거죠!!!
쩨쩨하게 몇번 틀린걸로 뭐라 하지 마세요!!ㅎㅎㅎ

728x90
728x90
728x90

은근히 자주 틀리게 되는 맞춤법이다

 

봬요는 '뵈-' +'-어요'가 결합한 '뵈어요'로 뵈어 > 봬로 줄어든 형태이다

이것은 한글 맞춤법 제 35항의 'ㅚ' 뒤에 '-어','-었'이 있을 경우는 'ㅙ', 'ㅙㅆ'으로 될 경우 줄여서 사용한다라는 걸 따른 것이다

예를 들면 되어도 돼로 사용되는 조항과 동일하다

 

뵈요 봬요 일 때는 '봬요'라고 사용을 해줘야 한다

 

몇가지 예시를 보여주자면,

 

1) 다음에 봬요

다음에 뵈어요

 

2) 무조건 '뵈'로 사용하는 경우는 아래 예시와 같다

나중에 뵙겠습니다

다음에 뵙겠습니다

 

다음에 봽겠습니다 → 다음에 뵈업겠습니다 (?) XXXXXXXX

말이 안되므로 이런 경우에는 '뵈'로 사용을 해준다

 

더많은 사용법이 존재하지만 이정도의 예시로 모두 이해가 가능하실 것 같아 이만 줄이겠습니다!

728x90
728x90
728x90

으로서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체언에 붙어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뜻할 때 사용하는 격조사

          , 어떤 동작이 일어나거나 시작되는 곳을 나타내는 격조사

 

으로써 ::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체언 뒤에 붙어 어떤 일의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내는 격조사

          , 시간을 셈할 때 셈에 넣는 한계를 나타내거나 어떤 일의 기준이 되는 시간임을 나타내는 격조사

          , 어떤 일의 이유를 나타내는 격조사

 

예시를 들면

 

- 으로서 

내가 선생님으로서 너희에게 가르침을 줄거야

자식으로서 마땅히 할 일

남쪽으로서 햇빛이 들어온다

 

- 으로써

낮잠을 잠으로써 피로가 약간 풀렸다

그는 진실해야 한다는 이념으로써 나라를 다스렸다

금년으로써 내 오랜 소원을 풀었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