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이전에 깨끗히 vs 깨끗이로 다룬적이 있으나

단언 하나하나 살펴보는게 더 나은 듯 해서 비슷한 내용이지만 다루기로 했다!

2021.04.23 - [하루모아태산─[우리말]] - [맞춤법] 깨끗이 vs 깨끗히 (+ '이','히')

 

사용해야 하는 맞는 말은 '일일이'다!!!!

발음이 [일:리리]로 끝 모음이 이로 끝나기 때문에

-이로 끝나느 것들은 '이'로 사용하고

-이, -히나 -히로 끝나는 것들은 '히'로 사용해주면 된다

(맞춤법 제51항을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이로만 끝나는 것을 정리하며 마무으리-!

 

  • 가붓이
  • 깨끗이
  • 가까이
  • 고이
  • 날카로이
  • 대수로이
  • 일일이
  • 집집이
  • 틈틈이

 

728x90
728x90
728x90

나도 굉장히 틀린 맞춤법으로 많이 사용한 예이다

 

바르게 사용한 말은 '얻다대고' 이다

 

얻다 라는 단어는 어디에다가 줄어든 말로

어디에다 대고라고 말하는게 되는거라 얻다대고로 사용해줘야 한다!

 

어따의 경우 감탄사로 사용이 되며

무엇이 몹시 심하거나 못마땅해서 빈정거릴때 사용하는거라 한다

 

설명을 들어보니 어따~ 왜그려~ 하는 사투리가 들리는 듯 하다

 

 

728x90
728x90

 

영문 [영문]

: (의문이나 부정을 나타내는 말과 함께 쓰이며) 일이 돌아가는 형편이나 그 까닭

 

- 영문을 모르겠다

- 무슨 영문인지 궁금하다

 

위 단어는 현재도 자주 쓰이고 있어서 어떻게 사용하는지는 알지만 한자어인 줄 알았는데 순우리말이라고 해서 굉장히 놀란 단어다!

그래서 이번에는 이 단어를 소개해주고 싶어서 올리게 되었습니다~

728x90
728x90

 

봄이 왔어요 (●'◡'●)

여기저기 예쁜 꽃들이 길거리에 피어있으니

기분이 좋아서 퇴근길에 콧노래가 절로 나오더라구요

 

코로나 시국이라 봄을 만끽하지 못하는게 아쉬워요

얼른 코로나가 끝나서 여행 다닐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그래서 오늘 배울 단어는!!

 

산-꽃 [산:꼳]

: 살아 있는 화초에서 꺾은 진짜 꽃 (= 생화 )

 

봄을 생각하니 꽃이 떠올라 찾아보게 된 단어입니다!

실제로 길거리에서 꽃은 꺾지 말고 눈으로만 보고, 이 단어를 떠올려 주세용~!

728x90
728x90

고갯-심 [고개씸/ 고갣씸]

: 목을 지탱하는 고개의 힘

 

미용실에 가서 머리를 감겨줄 때면 

왜인지 모르게 뒷 머리 아래를 감겨주면 힘을 주게 되는 것 같아요

 

그러면 힘 빼세요~ 이러는데

그때 제가 힘을 주는게 고갯심이였나봐요(. ❛ ᴗ ❛.)

 

힘을 가끔 심으로 발음하시는 어른들이 계시는데

그렇게 생각해보면 고개 + 힘 해서 정말 착 외워지죠?

 

오늘의 순우리말 끝 -

 

728x90
728x90

 

기억이 안나는데 누가 저한테 이쁘다는 잘 못 된거래

예쁘다라고 써야한대라고 얘기해줘서

그 이후부터는 굉장히 열심히 예쁘다로 말하려고 노력했던 기억이 있어요..~

 

사실 제가 찾아보면 되는 일이였는데

안 찾아봐서 한동안 힘들게 살았네유 껄껄

 

이쁘다 예쁘다 

둘 다 표준어입니다!!

 

이쁘다는 비표준어였으나 2015년 표준어로 추가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유는 현재 표준어와 같은 뜻으로 널리 쓰이는 말이므로 복수 표준어로 지정이 되었습니다~

 

그러니 이제 걱정말고

이쁘다 예쁘다 

둘아 이쁘게 사용하세요 😊

728x90
728x90
728x90

은근하게 잘 못 사용되고 있는 맞춤법!

 

깨끗이가 올바른 표기법이다!

 

한글맞춤법 제51항에 따르면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이'로 적고 

1) '히'로만 나거나 2) '이'나'히'로 끝나는 것은 '-히'로 적는다고 한다

 

깨끗이[깨끄시]로 발음되므로 끝음절이 '이'로만 끝나 깨끗이로 적는다

 

추가적으로 '이'나 '히'가 붙는 것에 대해 자세히 적어보겠다

 

 '이'로 적는 것

 

- '-하다'가 붙지 않는 용언 어간 뒤에는 '이'가 붙는다

같이 / 높이 / 굳이 / 많이 / 실없이 / 헛되이 ...

 

- 부사 뒤 (한글 맞춤법 제 25항 2)

곰곰이 / 일찍이 / 더욱이 / 생긋이 / 오뚝이 ...

 

- 겹쳐 쓰인 명사 뒤

겹겹이 / 나날이 / 앞앞이 / 몫몫이 / 낱낱이 / 샅샅이 / 다달이 / 곳곳이 / 짬짬이 ...

 

- 'ㅂ' 불규칙 용언의 어간 뒤

가벼이 / 새로이 / 괴로이 / 너그러이 / 즐거이 / 부드러이 ...

 

- 'ㅅ' 받침 뒤

번듯이 / 빠듯이 / 남짓이 / 지긋이 / 버젓이 / 뜨뜻이

 

● '히'로 적는 것

 

- '-하다'가 붙는 어근 뒤 (단, 'ㅅ' 받침 제외) 에도 '히'가 붙는다

간편히 / 과감히 / 급히 / 딱히 / 엄격히 / 정확히 

 

- '하다'가 붙는 어근에 '-히'가 결합하여 된 부사에서 온 말

익히(←익숙히) / 특히 (←특별히)

 

- 익어진 발음 형태대로 적는 경우

작히 

 

 

 

국립국어원 - 어문 규정에서 가져왔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