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다짜고짜 수익 자랑하기 ㅎㅎㅎㅎㅎ

사실 이 ,, 종목을 사게 된 이유는 생각이 나지 않으나,,

재무가 굉장히 괜찮고 현재도 들어가도 괜찮은 종목으로 생각하고 있는 종목입니다

 

환경과 관련된 종목인데 요즘과 같은 주요 환경 이슈에 맞춰서 산 종목으로

오르겠지 오르겠지 했지만 생각보다 오래 들고 있었던 종목이지만 결국엔 좋은 금액으로 마무리 한 ^^

 

저는 근데 종목은 잘 고르는데 왜,, 돈이 없어서

손익은 많이 없을까요?ㅠ 눈물만 나네요...

그렇지만 7월 22일에 했던 매도 한번 자랑하며 ㅎㅎㅎ 다시 열심히 개미는 달립니다 뚠뚠

728x90
728x90

주식을 시작한지 얼마 안되기도 해서
첫 매도를 이번달에 하게 되었다

1.

철강 관련 종목이였으며 대략 2-3주 정도 소유하고 있던 종목이다.
철강주가 뜬다는 소식을 듣기도 했고
재무를 보니 굉장히 탄탄하여 들어간 종목이다
사실 이 수익률보다 더 높게 올라가서 16% 정도 먹을 수 있었으나 개미는 고점에서 팔지 못 하는 법!
만약 안 팔았다면 물려있었을 듯 하다
첫 매도에 수익을 봤다는거에 만족하고 끝!
철강은 굉장히 재무가 탄탄한 곳이 많아서 기회를 보고 다시 들어갈까 고민중이다

2.

알루미늄 관련 주였다.
코스닥을 경험해보고 싶어서 들어간 곳인데
코스닥이 약간은 코스피보다 더 무섭다는 얘기를 많이 들은터라 안전하게 수익률을 먹고 나왔다
소유한 기간은 대략 1-2일 정도였으며 13% 이상 먹을 수 있었으나 정정 중에 급작스럽게 많이 올라 체결이 되어버려 다소 아쉬운 수익률에 팔게 되었다
그러나 주식 시장에서 수익을 봤다는거 자체가 행운!
이것도 코스닥의 첫 매도로 기분 좋게 마무리~
이 종목을 선택한 이유는 재무가 성장성이 있었고 괜찮았으며 최대 주주가 믿을 수 있는 곳이라 선택을 했다

728x90
728x90
728x90

증권 = 주식 + 채권

 

주식 에 관하여 설명하자면,

A가 사업을 시작했고 자본금 2억이 필요한데 A는 1억이 있어요

누구 나한테 투자 할 사람?

B는 돈이 많은 친구라 A가 가서 말 걸어요,

나한테 투자하면 내가 배당금도 주고 할게~

그렇게해서 A의 사업이 시작됐어요! 짝짝 🎪

 

A의 사업이 엄청 잘돼서 C라는 사람이 그 사업 나한테 줄래? 내가 3억에 살게!

B한테 물어봐요, 왜냐면 투자를 했기에 관여를 할 수 있는 권리를 가졌기 때문이예요~

팔기로 결정을 했다면 B는 1억을 투자했지만 1억 5천을 받게 됩니다!

만약,, 사업이 잘 안된다면 ㅠㅠ 내 투자한 금액은 어디로 갔을까요? 사라졌습니다, 못 받아요

 

이게 바로 주식 거래의 겉핥기...!!!!! 우선 한번 크게 쓰윽 훑어봐요~~

 

채권 에 관하여 설명하자면,

A가 사업을 시작했고 자본금 2억이 필요한데 A는 1억이 있어요

누구 나한테 돈 빌려줄 사람?

B는 돈이 많은 친구라 A가 가서 말 걸어요,

나한테 투자하면 2년 후에 이자 얼마까지해서 줄게~

그렇게해서 A의 사업이 시작됐어요! 짝짝 🎪

* 여기서부터 다른 점을 느끼셨나요?

 

A의 사업이 엄청 잘돼서 C라는 사람이 그 사업 나한테 줄래? 내가 3억에 살게!

A의 사업에는 C가 관여할 권리가 없고 3억에 팔아도 내가 빌려준 돈과 약속한 이자만 받아요 

아쉽지만 내 원금은 지켰잖아요! 안정적이죠?ㅎㅎ

 

근데 이 채권 듣다보면 더 어려운 것 같아요..!! 더 알아보자구요

 

빚이 떼일 가능성이 낮아질 수록 금리도 낮아집니다

국가의 부채는 국채 이런식으로 00 + 채로 붙는데 국가가 망할 확률이 제일 낮으니

국채의 금리가 가장 낮아요!

그러면 빚이 떼일 가능성이 높다면? 금리가 높아지죠~

금리가 높아야 돈을 빌려줄 확률이 높아지니까요!!

* 금리 : 빌려준 돈이나 예금 따위에 붙는 이자 또는 비율

 

채권 가격과 금리는 반비례관계

 

채권 가격이 떨어졌다 -> 금리가 높아졌다

채권 가격이 올라갔다 -> 금리가 낮아졌다

 

예를들어 시장 금리가 5% -> 10%로 올랐어요 금리가 높아졌죠? 그러면 채권 가격이 떨어진겁니다

이걸 정확하진 않지만 제가 이해한 대로 풀이해보자면

채권 금액 + 이자로 상환일 즉, 갚는 날까지 이걸 주식처럼 돌려가며 거래를 할텐데

금리가 10%로 올라간다면 1000원을 빌리고 5%를 금리로 친다면 1050원이었었던게 

1050 = 1000*0.1 + X 로 X가 채권가격 950원이 되는 겁니다

 

펀드에 대해 말하자면,

펀드매니저가 알아서 종목을 찾아서 굴려주는데 이렇게하면 분산 투자의 장점을 가져갈 수 있다

은행, 증권사 통해 가입이 가능하고 일반 주식처럼 ETF를 사는 식으로 해도 된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