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 UPDATE

 

1
결과값

UPDATE :: 어떤 테이블을

     SET  :: 어떤 내용으로

 WHERE :: 어떤 부분만

 

이렇게 이해해주면 된다

 

[그림1]을 예시로 설명하자면 MAKETABLE의 USER_ID가 'AAA'인 것만 USER_ID를 'UPDATE_USER'로 변경하겠다

2

여러개를 한번에 수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그림[2]와 같이 사용해주면 된다

() 등호안에 순서대로 넣어주고 = ()등호의 SELECT 문을 맞춰주면 된다

여기서보면 TABLE 옆에 A B 라고 해준게 보일 것이다

TABLE 옆에 AS가 생략된 명칭인데

매번 MAKETABLE.USER_ID = MAKETABLE.USER_ID라고 하기 힘들고 동일한 테이블을 사용할때는 헷갈리며 돌아가지도 않기 때문에 AS를 이용하여 명시하여 사용해준다

 

3

여러개의 컬럼을 수정할 때는 [그림3]과 같이 사용해주면 된다

728x90
728x90

 

728x90

- SELECT 

1
결과값

기본적으로 SELECT 하는 부분이다

SELECT 에는 컬럼명 혹은 * (전체)를 써주거나 후에 더 알 수 있겠지만 서브쿼리, 함수 등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FROM 에는 테이블을 쓰면 된다

 

SELECT :: 내가 보고싶은 컬럼들

FROM  :: 보고싶은 컬럼들을 꺼내올 곳 

 

이라고 이해해주면 된다

 

2

WHERE 이라는 조건절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림[2]에서 보는 것과 같이

USER_ID가 AAA인 것만 가져오기,

USER_SAL 값이 3000이상인 경우만 가져오기

를 예시로 보여주었고 이를 응용해서 사용해주면 된다! 

 

만약 테이블 없이 어떻게 SELECT가 되는지 궁금할 때,

SELECT (사용하고 싶은 내용) FROM DUAL 을 사용하면 된다

DUAL은 가상 테이블로 ORACLE에서 지원해주는 테이블이다

 

사용방법은 예시로

결과값

위와 같이 사용하면 된다

AS는 명칭을 내가 지정해주고 싶을때 사용하면 된다

예를들어 월급 + 보너스 = 총급여라고 친다면 월급+보너스라고 컬럼에 보일 수는 없으니 

SELECT 월급+보넛 AS 총급여 라고 써주는 것이다

 

 

 

728x90
728x90
728x90

- 주석문 

한줄 주석문
범위주석문

 

- 테이블 생성

테이블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있는데

1과 같이 하나하나 자료형을 설정해주는 방법

2와 같이 다른 테이블을 이용하여 테이블을 생성해주는 방법이 있다

 

예시1
예시2

 

자료형은 굉장히 많으며 자주 사용되는 예시로 가지고 왔다

INTEGER, NUMBER :: 숫자, VARCHAR2, CHAR :: 문자, DATE :: 날짜 

테이블명이나 컬럼명에 오라클 예약어를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 해야한다

만약 테이블 생성 시 부적합한 식별자 오류가 난다면 한번 이부분을 유의해보자! 

예약어 예시 : COUNT, DATE, CHAR 등등....

 

- 컬럼 추가

이미 만들어놓은 MAKETABLE에 컬럼을 추가해보았다

VARCHAR2 형태로 만들어 놓았으므로 문자를 입력해야하는구나 하고 이해하면 된다!

Database에서는 '' 작은 따옴표 사이에 문자를 넣어줘야 한다 "" 큰 따옴표로 한다면 오류가 발생하니 주의!

테이블 명칭 뒤 괄호로 컬럼명을 명시해준다면 그 순서에 맞춰서 값을 넣어주면 맞춰서 추가가 되고

만약 괄호 없이 바로 값을 추가한다면 테이블을 만들 때 순서대로 값을 입력해줘야 한다

명시해줄 때 굳이 테이블 내 모든 컬럼을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SQL Development에서 사용할 때는 자동 commit이 되지 않으니

CREATE ,DELETE ,DROP과 같은 테이블의 변경을 주는 작업을 하였을 때는 COMMIT;을 실행 해줘야 한다!

 

* COMMIT 이란?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완료 하였으니 실제로 반영해주세요라고 말하는 말이다

728x90
728x90
728x90

참고 :: 이전 글을 통하여 오라클을 다운로드하고 접속하는 방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Eclipse를 이용하여 JDBC 연결을 하였습니다 😃

 

1

그림[1]에서 맨 우층 상단을 누르면 Oper Perspective가 나온다

이곳에서 노란줄 쳐진 Database Development를 클릭해주면 된다

 

JDBC에는 Driver를 다운로드 받아야하는데 하기의 블로그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았다

ojdbc6.jar을 다운로드 받아주면 된다, 

https://fruitdev.tistory.com/89

2
4

다운로드 받은 위 ojdbc6 library는 Java가 다운로드 받아져 있는 파일 내에 driver 폴더를 생성하여 넣어주었다

3
4
5

그림[3],[4],[5] 순서대로 등록을 하면 Database 연결이 될 것이다

그림[5]에서는 기존에 있던 jar은 지워주고 새로 다운 받은 jar을 추가해주면 된다

 

6

Service Name을 xe로 변경해주고 Host는 localhost나 127.0.0.1이 기본으로 넣을 수 있으며

내 컴퓨터 IP를 등록해도 된다

이후 우측 하단의 Test Connection을 시도해본다 (Start Database 했는지 확인하기)

 

7

이후 그림[7]에서 파일 저장같이 생긴거에 노란색이 쳐져있을 것이다 그러면 저걸 눌르고 위에 Type 이런것들 다 원래대로 연결시켜줘서 사용해주면 된다 

Eclipse에서 실행하는 방법은 alt + c 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