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올바른 표기어는 '웃어른' 입니다!

 

웃어른을 공경합시다

제 초등학생 시절 도덕책에 많이 나왔던 문구라 당연히 웃어른으로 사용하긴 하였지만

윗어른으로 쓰는 분들이 종종 계셔서 한번 알아 보게 되었습니다!!

 

표준어규정 제12항에 따르면, '웃-' 및 '윗-'은 명사 '위'에 맞추어 '윗-'으로 통일합니다만 아래, 위의 대립이 없는 단어는 '웃-'으로 발음되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데, '웃어른'은 '아랫어른'이 없으므로 '웃어른'을 표준어로 삼게 되었다고 합니다!

 

728x90
728x90
728x90

 

'무우'가 원래 본말이나

표준어규정 제14항에 따르면, 준말이 널리 쓰이고 본말이 잘 쓰이지 않는 경우에는 준말만을 표준어로 삼는다고 합니다

따라서, 준말인 '무'가 사람들에게 더 널리 쓰이다보니

'무'가 표준어라고 하네요!!

728x90
728x90
728x90


구두 상으로만 많이 사용하고 문자로 직접 적어 쓴 적이 별로 없어
제가 어떻게 쓰고 다녔는지 잘 생각은 안나지만
왠지 잘못된 표기로 사용하고 다녔던 것 같습니다.. 충격...!!!!

역시,, 우리말은 수능때가 최고점이고 지나고 나니
독서량도 줄어서 그런지 맞춤법이나 띄어쓰기가 많이 틀리고 있어요

올바른 표기법은 "쩨쩨하다" 입니다!
의미로는  '너무 적거나 하찮아서 시시하고 신통치 않다', '사람이 잘고 인색하다' 입니다

이제부터 잘 쓰면 되는거죠!!!
쩨쩨하게 몇번 틀린걸로 뭐라 하지 마세요!!ㅎㅎㅎ

728x90
728x90
728x90

 

이 맞춤법 틀리면 어떡해~~~

그러면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 거야??

 

제가 알려드리겠쑵니돠~~

어떻게는 의견, 성질, 형편, 상태 따위가 어찌 되어 있다라는 뜻

서술어 앞에 사용이 됩니다

위에 제가 사용한 예와 같이 공부하다라는 서술형 앞에 있는거라 생각해주시면 되는데요,

다른 예시로는 어떻게 지내십니까? 이게 있습니다!!

 

그러면 어떡해는요?

어떡해는 어떻게 해 가 줄어든 형태라서 오늘도 안 오면 어떡해와 같이 서술어 자리에 쓰입니다!!

 

어떻게는 서술어와 함께 쓰여야 하지만

어떡해는 어떻게 + 해 (서술어)가 이미 합해진거라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한거지요~~

 

우리 모두 맞춤법 잘 써서 어떡해~~ ^~^

 

728x90
728x90
728x90

이전에 깨끗히 vs 깨끗이로 다룬적이 있으나

단언 하나하나 살펴보는게 더 나은 듯 해서 비슷한 내용이지만 다루기로 했다!

2021.04.23 - [하루모아태산─[우리말]] - [맞춤법] 깨끗이 vs 깨끗히 (+ '이','히')

 

사용해야 하는 맞는 말은 '일일이'다!!!!

발음이 [일:리리]로 끝 모음이 이로 끝나기 때문에

-이로 끝나느 것들은 '이'로 사용하고

-이, -히나 -히로 끝나는 것들은 '히'로 사용해주면 된다

(맞춤법 제51항을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이로만 끝나는 것을 정리하며 마무으리-!

 

  • 가붓이
  • 깨끗이
  • 가까이
  • 고이
  • 날카로이
  • 대수로이
  • 일일이
  • 집집이
  • 틈틈이

 

728x90
728x90
728x90

나도 굉장히 틀린 맞춤법으로 많이 사용한 예이다

 

바르게 사용한 말은 '얻다대고' 이다

 

얻다 라는 단어는 어디에다가 줄어든 말로

어디에다 대고라고 말하는게 되는거라 얻다대고로 사용해줘야 한다!

 

어따의 경우 감탄사로 사용이 되며

무엇이 몹시 심하거나 못마땅해서 빈정거릴때 사용하는거라 한다

 

설명을 들어보니 어따~ 왜그려~ 하는 사투리가 들리는 듯 하다

 

 

728x90
728x90

 

영문 [영문]

: (의문이나 부정을 나타내는 말과 함께 쓰이며) 일이 돌아가는 형편이나 그 까닭

 

- 영문을 모르겠다

- 무슨 영문인지 궁금하다

 

위 단어는 현재도 자주 쓰이고 있어서 어떻게 사용하는지는 알지만 한자어인 줄 알았는데 순우리말이라고 해서 굉장히 놀란 단어다!

그래서 이번에는 이 단어를 소개해주고 싶어서 올리게 되었습니다~

728x90
728x90
728x90

오랜만에 맞춤법 관련 글을 엄청 올리는 중이다!

유입 통계를 보면서 어떤식의 글이 유용할까를 많이 고민하는데

맞춤법 관련해서 들어오는 경우가 많아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혼동하는게 뭘까해서 정리해서 하나씩 올리고 있다

 

우선 오랜만에가 올바르게 사용된 것이다

오랜만 :: 오래간만의 준말. 형태소와 어원을 구분할 수 없어 발음대로 사용해줘야 한다

 

오랫만에가 헷갈리시는 분들은 발음✨ 대로 해서 적는다! 이걸 외워서 쓸 때 입으로 한번씩

오랜만에 오랜만에~ 하면서 맞춤법을 유의해주시면 될 듯 합니다!!!

 

추가로 오랫은 그러면 왜 헷갈리는걸까?라고 생각을 해봤더니

오랫동안 사귀었던 정든 내 친구여♬ 

이 노래 덕분이 아닐까 생각을 했습니다 ㅎㅎㅎㅎㅎ

 

이 경우에는 오랫동안이 맞는 표기법이며 '오래' + '동안' 이 합쳐진 합성어로 사이시옷을 받춰 '오랫동안'이라고 사용을 해주게 됩니다

 

! 오랜만

! 오랫동안

728x90
728x90
728x90

은근히 자주 틀리게 되는 맞춤법이다

 

봬요는 '뵈-' +'-어요'가 결합한 '뵈어요'로 뵈어 > 봬로 줄어든 형태이다

이것은 한글 맞춤법 제 35항의 'ㅚ' 뒤에 '-어','-었'이 있을 경우는 'ㅙ', 'ㅙㅆ'으로 될 경우 줄여서 사용한다라는 걸 따른 것이다

예를 들면 되어도 돼로 사용되는 조항과 동일하다

 

뵈요 봬요 일 때는 '봬요'라고 사용을 해줘야 한다

 

몇가지 예시를 보여주자면,

 

1) 다음에 봬요

다음에 뵈어요

 

2) 무조건 '뵈'로 사용하는 경우는 아래 예시와 같다

나중에 뵙겠습니다

다음에 뵙겠습니다

 

다음에 봽겠습니다 → 다음에 뵈업겠습니다 (?) XXXXXXXX

말이 안되므로 이런 경우에는 '뵈'로 사용을 해준다

 

더많은 사용법이 존재하지만 이정도의 예시로 모두 이해가 가능하실 것 같아 이만 줄이겠습니다!

728x90
728x90
728x90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어려워하는 안과 않입니다!

 

용언 앞에 이를 수식하는 부사일 경우에는 '안'

예로 오다, 춥다 등 동사 앞에서 '안 오다', '안 춥다' 와 같이 사용이 된다

이때는 복합어를 제외하고 띄어쓰기를 해서 사용을 한다

* 용언 :: 일반적으로 동사와 형용사를 포괄하여 부르는 품사분류의 상위 개념이라고 한다

* 복합어 :: 두개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어미 앞에서 '아니하다', '아니 하다'의 준말과 뜻으로 사용할 때는 '않'

'오지 않고', '생각을 않는다' 와 같이 사용이 된다

항상 뒷말과 붙여서 사용이 된다

 

요약을 하자면 '아니'가 줄어든 경우에는 '안'  / '아니하-'가 줄어든 경우에는 '않'이다

안 춥다 >> 아니 춥다 (o) / 아니하춥다 (x)

오지 않고 >> 오지 아니고(x) / 오지 아니하고 (o)

 

어려운 경우에는 위와 같이 넣어서 사용해도 좋을 듯 하다^^

728x90

+ Recent posts